타락한 인간이 어떻게 다시 은혜를 받아 구원의 복을 받을 수 있는가? 은혜의 방편은 이 질문에서 출발한다. 왜냐하면 타락한 인간은 스스로의 능력으로는 구원을 가져올 수 없기 때문이다. 죄인이 구원 얻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우리의 구원의 유일한 기원인 하나님의 은혜로부터, 그리스도의 공로가 주는 은택을 받는 방법 외에는 없다. 그리스도의 공로와 그 은택을 우리에게 적용되는 길은 우리의 믿음을 통해서다. 그리고 우리의 믿음은 성령의 사역을 통해서 일어나며 유지된다.
그렇다면 성령은 어떻게 역사하시는가? 바로 여기에 은혜의 방편의 자리가 있다. 하나님이 은혜를 나누어 주실 때, 성령은 직접 역사하실 수도 있으나, 통상적으로 어떤 방편의 사용과 함께 역사하신다. 이것을 은혜의 방편이라 부른다. 성령님께서 은혜를 주시기 위해서 사용하시는 방편이다. 성령님께서 방편을 사용하시사 믿음을 일으키시고, 믿음을 보존하시며, 강하게 하시며, 성장하게 하신다. 우리는 성령께서 역사하신 믿음으로 그리스도를 더 간절히 붙들며, 우리 죄를 떨쳐버리며, 하나님의 자녀로서 담대히 세상을 이긴다.
그런데 은혜의 방편에 대해서 교회의 신조 사이에 차이가 있다.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는 그리스도가 우리에게 구속의 은택을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하시는 외적인 통상적 방편이 말씀, 성례, 기도라고 한다(88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는 성령이 복음의 설교로 믿음을 일으키고, 성례로 강하게 하신다고 진술한다(65문). 즉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는 말씀, 성례, 기도를 언급하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는 말씀과 성례를 언급한다. 둘이 다른 것일까?
전문보기
스데반의 생각
이남규 교수는 웨민 소요리가 말씀, 기도, 성례 3가지를 은혜의 방편으로 말하고(88문답),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은 말씀과 성례 두 가지만 말하는 것(65문답) 사이의 통일성을 설명하고 있다. 웨민 소요리에 기도가 포함되는 것은 주관적 방편으로 말씀과 묶여 있다는 취지이다(90문답). 납득이 가는 설명이다. 그러나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이 기도를 은혜의 방편에서 명시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116문답은 기도가 은혜의 방편이라는 취지의 설명을 분명하게 하고 있다. 그러므로 소요리문답은 세가지를 묶어서 말한 것이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은 기도를 별도로 다룬 것 뿐이다. 그 이유는 기도의 이중적 용도를 가르치기 위함인데, 하나는 감사의 방편이고 다른 하나는 은혜의 방편이다(116문답). 한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은 말씀(특별히 설교)과 성례를 각각 믿음을 일으키고 강화시키는 구속의 은혜의 방편으로 특정화시키고 있다(65문답). 반면 소요리문답 88번은 구속을 위한 은혜의 방편으로서 말씀, 성례, 기도를 한 데 묶어서 말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구속의 적용을 위한 은혜의 방편은 두 요리문답에서 동일하게 말씀, 성례, 기도를 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사]50 Years of God’s Faithfulness: Read Our 2021 Ministry Report (0) | 2021.11.05 |
---|---|
포이트레스 박사 오류 인정 발표문 (0) | 2021.09.16 |
[기사]Preachers gotta preach-DeYoung (0) | 2021.08.13 |
개혁교회 vs 장로교회 (0) | 2021.08.06 |
[기사]Four Distinct Characteristics of Puritan Evangelism-Beeke (0) | 2021.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