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죄의 정의-투레티누스
원죄는 어떤 때는 넓은 의미로 전가된 죄와 타고난 죄라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이 둘 모두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고(우르시누스, 잔키우스 등이 이 입장을 취한다), 어떤 때는 좁은 의미로 오직 타고난 죄만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후자의 경우에, 원인이자 토대인 전가된 죄는 배제되지 않고 전제된다(부처, 칼빈, 불링거가 흔히 이런 식으로 말한다). 프란키스쿠스 투레티누스, 변증신학강요 1, 부흥과개혁사, 934. 스데반의 생각 여기서 전가된 죄는 죄책(아담의 불순종)을 의미하며, 타고난 죄는 본성의 부패를 말한다. 본성의 부패를 좁은 의미에서 원죄라고 하는데, 이는 전가된 죄책의 형벌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들은 구분되나 분리되지는 않는다. 웨민 소요리문답에서도 좁은 의미의 원죄의 ..